VirtualBox에 Centos 설치를 완료하고 VirtualBox Gest를 설치하려고 하면 에러가 나는 경우가 있는데 그 해결 방법을 남겨놓는다.

 

 

설치 오류 화면

위와 같이 오류가 발생하면 터미널에서

# yum groupinstall "Development Tools" 설치 후 바탕화면에 있는 게스트확장CD 아이콘 실행

그래도 오류가 발생하면

# yum install kernel-devel 설치 후 바탕화면에 있는 게스트확장CD 아이콘 실행

그래도 마찬가지로 오류가 발생하면 나 같은 경우 재시작하고 나면 정상반영 완료

 

어느단계에서 설치가 되었는지는 나중에 다시 지우고 다시 해볼 예정.....

'서버 이야기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7] disk 추가 후 설정  (0) 2021.02.24

이전 회사에서 원인은 모르겠으나 불특정하게 톰켓이 죽어서 서비스가 안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나중에 서버 설정이 잘못되어서 생기는 문제로 확인되기는 했지만....

그 당시에는 임시 조치로 스크립트를 만들어서 crontab에 등록, 스케줄로 체크 후 재시작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혹시나 나중에 사용할수도 있을까 싶어 적어놓는다.

 

#!/bin/sh

export JAVA_HOME=/usr/local/java;

if [ -z "`ps -eaf | grep java|grep tomcat`" ]; then
 	/usr/local/tomcat/bin/startup.sh
	END_TIME=`date +%m/%d' '%H:%M:%S`
	echo "["$END_TIME"] tomcat restart.."
fi

 

그때는 짜느라 오래 걸린것 같은데 생각보다 넘 간단하네..ㅜㅜ

VirtualBox에서 설정에서 가상 disk를 신규로 추가한다.

 

추가된 디스크 정보를 확인한다

[root@localhost /]# ls -al /dev/sd*
brw-rw---- 1 root disk 8,  0  2월 24 11:31 /dev/sda
brw-rw---- 1 root disk 8,  1  2월 24 11:31 /dev/sda1
brw-rw---- 1 root disk 8,  2  2월 24 11:31 /dev/sda2
brw-rw---- 1 root disk 8, 16  2월 24 11:51 /dev/sdb

 

lsblk 명령어로 상세 정보를 알수 있다. ( sdb가 새로 생성되었음)

[root@localhost /]# lsblk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
sda               8:0    0   32G  0 disk 
├─sda1            8:1    0    1G  0 part /boot
└─sda2            8:2    0   31G  0 part 
  ├─centos-root 253:0    0   29G  0 lvm  /
  └─centos-swap 253:1    0    2G  0 lvm  [SWAP]
sdb               8:16   0    8G  0 disk 
sr0              11:0    1 1024M  0 rom 

신규 생성된 디스크를 포맷 해준다.(ext4로)

[root@localhost /]# mkfs.ext4 /dev/sdb
mke2fs 1.42.9 (28-Dec-2013)
/dev/sdb is entire device, not just one partition!
Proceed anyway? (y,n) y
Filesystem label=
OS type: Linux
Block size=4096 (log=2)
Fragment size=4096 (log=2)
Stride=0 blocks, Stripe width=0 blocks
524288 inodes, 2097152 blocks
104857 blocks (5.00%) reserved for the super user
First data block=0
Maximum filesystem blocks=2147483648
64 block groups
32768 blocks per group, 32768 fragments per group
8192 inodes per group
Superblock backups stored on blocks: 
	32768, 98304, 163840, 229376, 294912, 819200, 884736, 1605632

Allocating group tables: done                            
Writing inode tables: done                            
Creating journal (32768 blocks): done
Writing superblocks and filesystem accounting information: done

- mount 로 필요한 곳에 연결해 준다.

mount [disk위치] [연결할 위치]

[root@localhost /]# mount /dev/sdb /home/apache_log/
[root@localhost /]# lsblk
NAME            MAJ:MIN RM  SIZE RO TYPE MOUNTPOINT
sda               8:0    0   32G  0 disk 
├─sda1            8:1    0    1G  0 part /boot
└─sda2            8:2    0   31G  0 part 
  ├─centos-root 253:0    0   29G  0 lvm  /
  └─centos-swap 253:1    0    2G  0 lvm  [SWAP]
sdb               8:16   0    8G  0 disk /home/apache_log
sr0              11:0    1 1024M  0 rom  

마지막으로 lsblk 명령어로 mount 정상여부 확인 가능하다.

 

mount 해제할때 명령어

- umount [disk위치]

 

재부팅 후에도 자동으로 마운트 하기 위한 설정 필요하다. 안해주면 재부팅시에 마운트 해제됨.

/etc/fstab 파일 수정

# Accessible filesystems, by reference, are maintained under '/dev/disk'
# See man pages fstab(5), findfs(8), mount(8) and/or blkid(8) for more info
#
/dev/mapper/centos-root /                       xfs     defaults        0 0
UUID=1eea9e49-7a1a-45c7-a5ca-5124423134fb /boot                   xfs     defaults        0 0
/dev/mapper/centos-swap swap                    swap    defaults        0 0
/dev/sdb        /home/apache_log        ext4    defaults        0 0
~   

'서버 이야기 > 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rtualBox Gest 확장팩 오류 해결  (0) 2021.03.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