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뷰 앱에서 FCM 토큰값을 서버로 전달 방법

앱내 웹뷰에서 서버로 FCM 토큰값을 전달하기 위해 웹뷰내 자바 스크립트를 호출하여 FCM 토큰값을 전달한다. 

 

callJavaScriptcallJavaScriptFunc 호출

- javascript 함수 정보 및 모바일 정보, FCM 토큰 정보 전달

//로그인 페이지일 경우 javascript 호출 처리
if (url.indexOf(LOGIN_URL) > -1 || url.indexOf(MAIN_URL) > -1) { // 로그인 url이 틀어오면 setAppInfo javascript를 호출함. (푸시키값 포함됨)
    val appDeviceId = AndroidUtil.getDeviceId(this@MainActivity)
    val appPushKey = Preference.getPushToken(this@MainActivity)
    val appOs = "android"
    val appVersion = AndroidUtil.getVersion(this@MainActivity)
    val appModel = Build.MODEL
    callJavaScriptFunc("setAppInfo", appDeviceId, appPushKey, appOs, appVersion, appModel) //javascript 함수호출(setAppInfo)
}

- loadUrl으로 javascript 호출 정보 생성하여 전달

protected fun callJavaScriptFunc(func: String?, vararg params: String?) {
    if (mWebView != null && func != null && "" != func) {
        var paramsStr = ""
        if (params != null && !"".equals(params)) {
            val count = params.size
            for (i in 0 until count) {
                if (i > 0) {
                    paramsStr += ','
                }
                paramsStr += "'" + StringUtil.defaultStr(params[i]) + "'"
            }
        }
        Timber.d("callJavaScriptFunc = javascript:$func($paramsStr)")
        loadUrl("javascript:$func($paramsStr)")
    }
}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냅샷(snapshot)의 의미  (0) 2021.02.26
[네트워크] 공인IP와 사설IP 설명  (0) 2021.02.25

스냅샵이란?

한마디로 그 시점의 상태를 별도로 저장한다는 의미이다.

문제가 발생할거를 대비하여 미리 그 시점의 상태나 데이터를 이미지나 파일로 저장하고 복원할때 사용한다.

 

최근에는 랜섬웨어 등의 침입 방지를 대비하여 개인 및 기업에서 crontab등을 통해 주기적으로 백업  정책으로 많이 사용한다. 아래는 virtualBox에서 스냅샷을 사용한 예시 화면이다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앱 내에서 javascript 함수 호출  (0) 2021.02.26
[네트워크] 공인IP와 사설IP 설명  (0) 2021.02.25

회사에서 서버 구축을 하면서 네트워크 관련 얘기를 할때 서버의 공인IP는 뭐고 사설IP는 어떤거라고 얘기는 하는데 들을때마다 혼란이 있어 별도로 정리한다.  

 

- 공인 IP란

일빈적인 인터넷 서비스업체(ISP - SK브로드밴드, 핼로TV등)에 비용을 지불하고 부여받은 IP를 말한다.

가정용IP와 기업용IP로 나누며 일반적으로 가정용은 동적(유동)IP를 기업용은 별도로 고정IP를 부여 받는다. 

 

- 사설 IP란

일반적으로 집에서 혹은 회사에서 공유기를 통해서 부여받는 IP(공인기관에서 허가받지 않은 IP)이며 이것을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사용해서 받게 되면 동적IP인것이고 수동으로 입력하면 고정 IP인것이다.

보통 사설IP대역은 아래와 같이 설정 가능하다.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 가장 많이 사용 

 

추가적으로,

  • 동적 IP :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PC를 껐다 켜거나 인터넷 설정이 변경될 경우 새로운 IP를 부여받는것을 말한다.
  • 고정 IP : 인터넷 설정과 상관없이 개별적으로 세팅을 통해 설정된 IP로 변경없이 고정해서 사용한다.

 

참조 URL의 이미지 사용

참조 URL : m.blog.naver.com/xcripts/70121283191

 

'잡동사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앱 내에서 javascript 함수 호출  (0) 2021.02.26
스냅샷(snapshot)의 의미  (0) 2021.02.26

+ Recent posts